bps pbr : 주식 기초 용어
<BPS>
1. 개념
주당 순자산가치 <Bookvalue Per Share>
BPS는 기업의 "1주당 순자산"은 얼마나 될까? 를 알기 위한 지표입니다.
기업의 1주당 순자산을 알게 되면, 현재의 주가와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주가가 자산 대비 고평가 되었는지, 저평가 되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1 주당 순자산 보다 ~ 1 주당 주식 가격이 높으면 고평가, 낮으면 저평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산 = 부채 + 자본(순자산)
기업의 자산은 부채 + 자본으로 되어 있는데, 자본을 순자산이라고도 부릅니다.
이 순자산을 '발행 주식수'로 나누면 BPS값이 나옵니다.
2. 계산 방법
BPS = 최근 분기 자본(순자산) 총계 / 수정 평균발행주식수(보통주 + 우선주)
간단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자산 1억, 부채 3천 만원, 자본 7천 만원, 보통주 8000, 우선주 2000>
BPS = 70,000,000원 / 10,000주 = 7,000원이 됩니다.
3. 왜 BPS라는 수치를 보는가?
주식시장에는 수많은 기업이 망하고 새로 상장됩니다.
기업이 혹시 망하더라도, 현재의 주가와 BPS를 비교함으로서 손실을 회피할 수 있습니다.
안정적이고 보수적인 투자를 선호할 때 주로 BPS를 많이 보게 됩니다.
순자산(자본)은 주주의 몫이고, 부채는 채권자나 은행의 몫입니다.
BPS를 통해서 기업 내에 있는 나의 재산(주주의 재산)이 얼마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
내가 가진 1주의 재산 가치를 주가와 비교함으로써 투자의 균형점을 찾을 수 있게 됩니다.
4. BPS를 실제로 활용해 보기
현대 자동차, 삼성전자, 네이버의 BPS를 비교해보겠습니다.
2019년을 기준으로 BPS를 비교해보면, 현대자동차는 267,549원, 삼성전자는 37,528원 ,네이버는 39,913입니다.
2020년 5월 14일 기준의 주가를 보면, 현대자동차는 1주당 91,600원, 삼성전자는 47,850원, 네이버는 220,000원입니다.
현대차 267, 549 - 91,600 // 삼성전자 37,528 - 47,850 // 네이버 39,913 - 220,000
'BPS와 주가'를 비교해 봤을 때, 현대차는 저평가, 네이버는 고평가, 삼성전자는 거의 비슷합니다.
만약, 이 시점에서 기업이 청산 된다면, 현대차는 1주당 세 배 넘는 이익을 거둘 수 있고, 네이버는 220,000원을 투자해서 한 주당 39,000원 정도 밖에 받지 못하니 큰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5. BPS가 주가를 제대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기업의 현재 재산상태가 그 기업의 주가로 바로 이어지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주식시장에서 투자자들은, 현대차의 경우, 현재 재산상태는 좋지만 미래 거두어 들일 수익이 낮다고 판단할 수도 있습니다.
나쁜 예를 들면, 5년 후 현대차의 재산이 점점 줄어들거나, 더 이상 재산이 불어나지 않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기업의 수익성이 점점 나빠지고 그것은 회복하기 어려울 지도 모릅니다.
반면, 네이버는 현재 재산상태만 봤을 때는, 분명 나의 투자금보다 낮습니다.
하지만, 향후 벌어들일 수익이 아주 많을 수도 있습니다.
5년 후, 네이버의 재산이 현대차의 재산보다 더 많을 수도 있고, 10년 후에는 네이버와 현대차의 재산 격차가 점점 커질 수도 있습니다.
주식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미래의 수익성입니다.
따라서 BPS는 현재의 재산상태나 재무 건전성을 알기 위한 지표로서 활용이 가능하지, 기업의 미래 수익 전망을 알 수 있는 지표로서는 부족한 것 같습니다.
미래의 재산상태는 어떻게 될 지 알 수 없으니까요.
<PBR>
1. 개념
주가 순자산 비율 (Price Book-value Ratio).
주가 대비 순자산의 비율
기업의 ‘현재 순자산’과 ‘현재의 주가’를 비교하는 지표입니다.
기업이 가진 순자산에 비해서, 주가가 고평가 되었는지 저평가 되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PBR 1을 기준으로, 1보다 높으면 고평가, 1보다 낮으면 저평가 되었다고 말합니다.
2. 계산방법
PBR = 주가 / 주당순자산(BPS)
삼성의 최근 분기 BPS가 37,000원이고 현재 주가가 42,000원이라면
PBR = 42,000 / 37,000 = 1.14가 됩니다.
3. 구체적 예
BPS는 단위가 ‘원’이고 PBR은 단위가 ‘배’입니다.
삼성전자의 2019년 PBR은 1.49배이고, 현대차의 PBR은 0.45배입니다. PBR이 1이라면 '1주당 순자산'과 '1주당 가격'이 같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기업이 청산되었을 때 내가 투자한 원금은 보장받을 수 있다는 뜻이 되죠.
현대차는 자산 대비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고, 삼성전자는 자산 대비 주가가 조금 고평가 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조금 더 예를 들어보면, BPS는 3000원인데, 현재 1주당 가격이 9000원이라면 PBR은 3이 됩니다.
PBR이 3배라면, 1주당 순자산 보다 주가가 3배 높게 평가되어 있다는 뜻이고, 기업이 청산되었을 때 3배의 손실을 보게 됩니다.
현대차처럼 PBR이 1 이하인 경우에는, 주가가 현재 기업의 재산가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만약, 현대차의 현재 BPS가 200,000원인데, 주가가 100,000만원이라면 현대차의 PBR은 0.5가 됩니다.
지금 현대차가 청산된다면, 100,000원을 투자해서 200,000원을 돌려받게 되니 수익률이 100% 가 되겠네요.
그런데, 현대차 같은 기업은 청산하지 않습니다. 새로운 사업을 추진하거나 사양산업이 되거나 둘 중 하나일 것입니다.
현대차가 사양 기업이 되면, PBR은 오히려 지금보다 높아질 것이고, 현대차가 새로운 사업을 성공하게 되어도 PBR은 높아질 것입니다.
사양산업이 되면, 기업의 장부가치가 점점 하락해서 장부가치 대비 주가가 높게 평가될 것이고, 신사업이 성공하게 되면 현대차에 대한 기대가 높아져서 장부가치 대비 주가가 상승하게 될 것입니다.
PBR은 기업의 현재 재산상태를 보는 참고자료로서만 활용할 수 있지,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BPS와 마찬가지로 미래의 사업 수익을 참고하기에 중요한 지표가 아닌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BPS와 PBR을 참고하면 주식시장을 보는 눈을 키울 수 있을 것입니다.
'국내 주식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국면에서 주가가 상승한 코스피 기업 순위(1위 ~ 5위) (0) | 2020.05.29 |
---|---|
네이버 액면분할 후의 주가 변화 (1) | 2020.05.28 |
액면분할과 액면병합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 (0) | 2020.05.27 |
주식 시장에서 D+2, 개장일, 폐장일, 휴장일이란? (0) | 2020.05.21 |
주식의 액면가, 발행가, 시장가의 차이는? (4) | 2020.05.15 |
EPS PER BPS PBR의 공통점과 차이점 (0) | 2020.05.14 |
주식 기초 용어 : EPS, PER (0) | 2020.05.14 |